본문 바로가기

개발품질과 양산품질 공통역량

정성적(Qualitative) 분석과 정량적(Quantitative) 분석 제대로 알고 하자

1. 정성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특성(성질, 성분)을 분석하는 기법. 비정형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되며 탐색적 데이터 분석이라고도 부른다. 공식을 사용하지 않은 간단한 사칙연산의 경우, 정성적 분석에 해당될 수 있다.

A/B/C/D중 C가 해당되는것 같다의 추정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법으로 이해할 수 있고 시간과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확실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근거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비정형데이터 : 형이 정해져 있지 않은 데이터. 산업분야 및 부문마다 사용하는 기법들이 다르게 때문에 필요한 정형데이터와 함께 사용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해당 데이터의 형식을 다를 수 있다. 

 

적용 예시) 

 

1) 중요품질문제 우선순위 산정할때 발생수량으로만 우선순위를 산정하지 않고 고질적 품질문제 또는 재발되는 품질문제점 등 분석시점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품질문제를 주관적 의견을 반영하여 산정하는 것

 

2) Trouble shooting시 현상을 확인하고 문제발생 추정제품 또는 단품을 산정할 때 분석방식에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진행되며 제품 또는 단품교환 해보기도 하고 CAN통신 측정을 진행하여 고품을 확정하고 고품분석의뢰를 진행한다.

 

3) 시스템 측면 제품의 영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브라우저 검색, 논문, 유튜브, 개인의 경험 노하우를 반영하여 회의 또는 이메일, 유선통화를 통해 후속업무를 진행하는 것.

 

4) 제품기준 고장영향과 고장모드를 분석하여 Bottom Up 방식으로 완제품의 예방대책 개념의 Failure Mode Effects Analysis(FMEA). 제품측면 완제품의 영향성을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된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 측면 RPN이 산출되지만 확률등 통계적분석이 아닌 간단한 사칙연산이기 때문에 정성적 분석에 속한다. 

 

5) 기능별 List를 나열하고 유저 모드를 포함한 시나리오와 결과값을 예상하고 Test Case를 도출하는 것

 

6) Field Claim중 아무것도 없는데 오감지하거나 응답속도가 너무 느린경우 고객이 Claim을 심하게 하는 유형이기 때문에 SNS 동호회에 공유되고 있으며 Claim 발생수량이 급증하고 있는 경우라면 Field 대응측면 관련부서 및 협력사와 협의를 진행하여 우선순위를 정해 개선내용을 선반영하고 정량적 DATA들을 바탕으로 유효성을 검증하여  Side Effect가 발견되면  최종 개선내용을 반영하는 단계로 업무진행이 가능하다. 우선순위를 정해 업무를 추진하는 정성적 분석의 목적은 Claim이 심한 Issue의 개선내용을 선반영하여 Claim 수를 줄이고 고객에게 양해를 구할 수준의 Side Effect Claim이 발생한 경우 추가 개선을 위한 시간을 벌기 위한 목적이다. 경험과 노하우를 반영하여 협의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업무를 추진하는 정성적 분석에 속한다. 

 

 

2.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확률 및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기법. 정형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적 분석을 진행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분석이다. A/B/C/D중 모집단과 발생집단을 통계적 분석을 통해 분포도 및 확률을 구하고 C가 해당되는게 확실하다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법으로 이해할 수 있고 확실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 정형데이터 : 형이 정해진 데이터. 산업분야 및 부문마다 오랜시간동안 사용해온 기법들의 형태가 정해져 안정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한 결과를 도출하기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적용 예시)

 

1) 전체적인 품질문제를 월별, 년별 품질문제 발생수량을 기준으로 PPM, W/DPTV, Field Claim관련 트렌드를 분석하여 지속적개선으로 품질문제 발생빈도를 대폭감소하는 활동.

*Parts Per Million(PPM) : 공장내 불량 발생 지수로 100만대 생산시 불량 발생을 예측한 지수

공식 : (불량수/생산수) * 1000000

Warranty Default Per Thousand Vehicle(W/DPTV) : 출고 후 Field 초기 3개월관련 천대당 불량 발생을 산출한 지수 

공식 : (불량수/출고수) * 1000

 

2) Trouble shooting시 완제품 Level에서 고품 또는 추정고품의 측정값(이음/성능값)을 기준으로 정상품과 비교하여 고품을 확정하거나 확정된 고품을 초기 EOL DATA와 비교하기도 하고 제품 또는 단품 Level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원인분석 및 개선대책을 수립하는 것

 

3) 시스템 또는 완제품기준 고장영향과 고장모드를 분석하여 Top Down 방식으로 제품의 고장영향성을 분석하는 개념의 Fault Tree Analysis(FTA)는 AND 또는 OR Gate를 사용하여 근본원인을 확인하고 AND는 곱, OR은 합해서 확률을 구하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에 속한다. 단, 확률을 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성적 기법측면으로 이용도 가능하긴 하다.

 

4) 수치로 나타낼수 있는 정보는 정량적 분석에 속한다. 예를 들어 치수, 경도, CAN DATA, 아날로그 신호, DTC, 기능안전 FTTI, EOTI, 특정모드에서 입력값을 받고 LIN 또는 CAN 통신 TX신호가 송출되기 까지 Timing 계산값, 제어기내 MCU, 통신 모듈, BS IC, RF IC, LF IC등 SPI 통신관련 부팅 및 통신준비완료 Timing 계산등이 정량적 분석에 속한다. 

 

3.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 사용방법

정성적 분석은 시간적 또는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정성적분석으로 추정되는 제품을 선정해놓기 때문에 이후 정량적 분석을 진행할 때 효율적이다. 특별특성, CTQ항목을 산정해서 공정능력을 구하는것 또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회의를 진행하거나 준비할 때도 모든 정량적데이터를 분석하고 진행하는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정성적분석을 통해 정량적분석이 필요한 항목을 산정하고 필요시 정량적 분석을 진행하여 확실한 결론을 도출한다. 우리는 AI 컴퓨터가 아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일하도록 하자.  항상 정성적 분석 후 정량적 분석을 진행하는것이 아니라 1차 도출된 정량적 분석결과를 가지고 추가적인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여 결론을 도출하거나 도출된 결론의 유효성확인을 위해 Full Function Check와 같은 Side Effect 검증목적 추가적인 정량적 분석이 진행될 수 있다.